1. Arithmetic (산술)
① Integers(정수)
• 30 is a multiple of 16 factors : 1,2,3,5,6,10,15,30 and their negatives
• 30은 각 인수에 의해 나누어 떨어지고(divisible), 인수가 아닌 7등으로 나누면 나머지(remainder)가 발생
• which of the following must be a divisor of n?(n의 약수는?, n을 나머지 없이 나누는 수는?)
• 최소공배수 = the least Common Multiple/ 최대 공약수 = the greatest common factor
② Fractions(분수), Exponents(지수), Roots(루트), Decimals(소수)
• 분수-> 분자 = numerator / 분모 = denominator
• 지수-> 3⁴ = 3 to the fourth power
• 지수-> 6² = 6 squared is 36
• 루트-> √16 = 4 is a square root of 16
• 소수-> 자릿수(digits) , 일의 자리이상은 + s, 소수점 이하는 서수형+3
• 소수-> 소수점 (decimal point)
• 백의자리(hundreds), 십의 자리(tens), 일의자리(ones/units),
소수점 첫째 자리(tenths), 소수점 둘째자리(hundredths)
ex) hundreds digit of 728 is 7.
③ 수열(Sequence)
• 등차수열(arithmetic sequence), 공차(common difference), 초항(first term)
• 등비수열(geometric sequence), 공비(common ration), 초항(first term)
2. Algebra (대수학)
① Algebra
• 변수(variable)를 가짐
• An algebraic expression has one or more variables
and can be written as a single term(항) or as a sum of terms30.
• Linear Equation(1차 방정식), Quadratic Equation(2차 방정식) - 근의 공식,
Inequalities(부등식), Functions(함수)
3. Geometry (기하학)
① 다각형(polygons)
• 삼각형(triangle), 사각형(quadrilateral), 오각형(pentagon),
육각형(hexagon), 팔각형(octagon)
• 삼각형 - 정삼각형(equilageral triangle), 이등변 삼각형(isosceles triangle),
직각 삼각형(right triangle), 빗변(hypotenuse)
• 삼각형 - 가장 긴 변 z -> z< x+y
• 사각형 - 정사각형(square), 직사각형(rectangle), 마름모(rhombus),
평행사변형(parallelogram), 사다리꼴(trapezoid)
• 원 - 지름(diameter), 반지름(radius), 현(chord), 원주(circumference),
호(arc)-원주 내의 두 점 연결, 부채꼴(sector)
• 원 - 내접(inscribe), 외접(circumscribe)
• 3차원도형 - 입체도형(solids), 정육면체(cubes), 원기둥(cylinders),
구(spheres), 각뿔(pyramids), 원뿔(cones)
4. Data Analysis (데이터 분석)
① Data description(자료 기술)
• 그래프 표현법 - 도수분포/빈도분포 (frequency distribution), 산점도(scatterplot) - 두개의 변수 관계 규명
시계열(time plot, time series)
• 수치 표현법 - 평균값(average, mean/ 산술평균arithmatic mean), 중간값(median), 최빈값(mode),
분산/확산(dispersion), 백분위수(percentiles), 사분위수(quartiles)
• 범위(range) = 최대값과 최소값의 구간차
사분범위(interquartile range) = 3분위와 1분위의 차
• 표준편차(standard deviation) : 관측값이 평균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 나타내는 지표
② 경우의 수 (numbers of cases)
• 순열(permutation)/ 조합(combination)
③ 정규분포(Normal distribution)
• 표준화
• 표준화 문제
-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키 조사하였더니, 평균 173cm, 표준편차 5. 이때 키가 185cm이상일 확률은?
z = (185-173)/5 =2.4 (z값이 2.4 이상인 부분 넓이가 확률)
'영어공부 > G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RE] Quant 단어 정리 (0) | 2023.06.08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