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기본 계수법칙
① 기본 계수법칙
-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방법이 전부 m가지일 때, 그 사건이 일어나는 '경우의 수'를 m가지라고 함.
- 경우의 수에는 곱의 법칙과 합의 법칙이 있음
② 곱의 법칙
- 사건 A,B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의 수
- 하나의 작업이 n개의 연속된 작업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(그리고, ~이고)
- 두 사건 A,B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 N(A) = n, N(B) = m일때,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는 nXm임.
- 4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이진수는 몇개인가? 2^4 = 16
③ 합의 법칙
- 사건 A또는 B가 발생할 경우의 수
- 작업들이 서로 독립적인 경우 적용(또는, ~이거나)
2. 순열
① 순열
- 물체의 집합에서 일정한 개수를 선택하는 문제를 풀 때 사용할 수 있으며, 선택만 하는 것은 조합문제,
선택한 수서도 고려해야하면 순열 문제
- 이러한 순열과 조합은 다시 중복을 허용하는 경우와 허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뉨.
- 순열 : 서로 다른 n개의 원소 중 r개를 중복하지 않고 선택하여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.
- P(n,r) = n*(n-1)....(n-r+1) = n!/(n-r)!
② 같은 것이 있는 순열
- 원소들은 많은 계수 문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
2. 중복순열
① 중복순열
- n개의 원소를 갖는 집합에서 중복을 허용하고 순서를 고려해서 r개의 원소를 뽑는 경우의 수
= n^r
'CS공부 > 학점은행_이산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2-2 점화식 (0) | 2023.09.08 |
---|---|
12-1 조합과 이항정리 (0) | 2023.09.08 |
11-1 최소 신장 트리 (0) | 2023.08.28 |
10-2 트리의 순회 및 이진 탐색 트리 (0) | 2023.08.23 |
10-1 트리 (0) | 2023.08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