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nguage 14

[포스코 AI·Big Data 아카데미 사전학습] 컴퓨터 공학 입문 1-4 연산자

1-4 연산자 ① 연산자 • 연산자란? - 산술 연산자 +,-,x,/ 기호와 같이, 이미 정의된 연산 수행하는 기호 or 키워드를 의미 • 연산자의 종류 - 산술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관계 연산자, 대입 연산자 등이 있다. ② 산술 연산자 •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, 나머지(%) 등의 연산을 할 때 사용되는 연산자 ③ 논리 연산자 • 논리 곱(&&), 논리 합(||), 논리 부정(!)의 연산을 할 때 사용 - AND(&&) : 둘 다 참이어야 참 - OR(||) : 둘 중 하나면 참이면 참 - NOT(!) : 참이면 거짓, 거짓이면 참 ④ 관계 연산자 • 두 식의 대소 크기를 비교하는 연산자로서 연산 결과가 참(true)나 거짓(false)으로 표현한다. - ex) ,==(같..

Language/C 2023.06.05

[포스코 AI·Big Data 아카데미 사전학습] 컴퓨터 공학 입문 1-3 함수

1-3 함수 ① 사용자 정의 함수 • 함수란? -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단위 (프로그램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을 함수로 만들어서 호출) • C 프로그램 함수의 종류 - 주(main)함수 : 프로그램 시작 & 종료 나타내는 함수 (꼭 있어야 함!) - 사용자 정의 함수 : 프로그래머가 문제분석 후 필요한 기능으로 분류하여 기능별로 코딩하고자 할 때 만드는 함수 - 시스템 라이브러리 함수 : 많이 사용되는 기능의 함수를 시스템에서 미리 만들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함수 • 함수의 정의 = 함수 만들기 - 두개의 정수를 매개변수로 입력받아 처리 후 리턴하는 함수 만들기 int add(int x, int y) // 함수의 머리 { int sum; // 함수의 몸체 sum = x+y; ..

Language/C 2023.06.05

[포스코 AI·Big Data 아카데미 사전학습] 컴퓨터 공학 입문 1-2

1-2 프로그램 구조 ① C프로그램 구조 ② 변수와 상수 • 변수란?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공간 ex) char cvar = 'A' • 상수란? 고정된 값 ex) 문자 'a', 문자열 "ABC" • 예약어란? 약속된 의미의 단어 ex) scanf, printf • 식별자란? 사용자가 만든 이름 (변수명/함수명) ③ 데이터 타입 • 데이터 타입이란? - 데이터 종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공간에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이 필요! -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종류를 데이터 타입 or 자료형이라고 표현 • C 기본 데이터 타입 자료형/명칭 크기 값의 표현범위 정수형 char 1바이트 -2⁷ ~ 2⁷-1 short 2바이트 -2¹⁵ ~ 2¹⁵-1 int 4바이트 -2³¹ ~ 2³¹-1 long 4바이트 -2³..

Language/C 2023.06.05

[포스코 AI·Big Data 아카데미 사전학습] 컴퓨터 공학 입문 1-1

1-1 컴퓨터의 개요 ①컴퓨팅 사고와 문제해결 • 컴퓨터 공학 사고력이란? 주어진 일상생활 문제를 분석하고 이해하여, 문제 해결 방법을 컴퓨터 공학 원리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컴퓨터가 이해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제시하는 사고 능력. ②프로그래밍 개발환경 도구 - 에디터/ 컴파일러/ 링커/ 디버거 • 에디터 : 소스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문서 편집기 • 컴파일러 :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번역 • 링커 : 번역된 여러 목적코드 하나로 묶어줌 • 디버거 : 프로그램 오류 수정 도구

Language/C 2023.06.05